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이슈

신안에 또 지진, 우리나라 안전한가

by 하늘학교 2013. 9. 11.
반응형

 

   증조가 좋지 않다

 

 

4월 21일 오전 전남 신안군 흑산도 해상에서 규모 4.9 지진이 발생한지 불과 몇달이

 흐르지도 않았는데 금일 9월 11일 신안 가거도 에서 또 4.0의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


4.9의 지진의 체감은 물건이 흔들리는게 보이는 정도의 강도 입니다.

 

오늘 일어난 지진도 체감상 느껴지는 정도이며, 같은곳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된다는건 조금은

 

걱정을 해봐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인근 국가

 

우리나라 주변 국들의, 지진 발생빈도가 예사스럽지 않습니다.

 

가장 최근에 일어난 강도 높은 지진은 중국 쓰촨성 에 진도 6.6강도의 지진이 이며 

 

수많은 사람이 생명을 잃고 부상을 당했습니다.


그리고 일본과 인근 해안에서 일어나는 강진에 대한 소식이 계속 들리고 있습니다.

 

일본의 이례적인 화산폭발 도 이에 해당 됩니다.

 

 

 

   지각은 움직인다

 

 

 

판의 이론

 

우리가 살고 있는 땅 그 깊숙한 곳에는 판이라는게 있습니다. 그걸 지각판 이라고 합니다.

 

그 지각판은 움직이고 있습니다. 우리가 실제로 느낄수는 없지만 지각판은 움직이고 있으며

 

일본쪽에 있던 지각판이 우리나라 쪽으로 움직이고 있다는건 과거 많은 분들이 주장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실제로, 일본쪽에 있는 지각판이 우리나라쪽으로 오고 있다는건 90년대에 나온 이야기 이며

 

10년이 지난 지금 지진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내진설계는?

 

 

지각판에 대한 많은 이론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지진대 라고 존재하는 부분이

 

우리나라 부근에도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내진설계를 잘하고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지어지는 아파트는 내진설계가

 

얼마나 될까요?

 

틈만 나면 부실공사 사건이 터지는데, 내진설계에 대한부분이 제대로 지켜지고

 

건물이 지어 질까요?

 

일본의 경우는 수많은 지진피해로 내진설계에 대한 법의 기준도 엄격하고 시민들 스스로

 

굉장히 심혈을 기울여서, 건물을 완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반 주택의 건물도 목조건물을 채택하여 지진의 충격에서 잘 견디겠끔 지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는 주택에도 이런 지진에 대한 규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설계를 하시는 건축가 분께서 이점을 고려하시는지도 궁금하네요

 

분명, 많은 분들께서 우리나라가 지진으로 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지진이 발생했을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해서 미리 연습을 해두시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아래의 지진규모, 지진의강도에 따라서 나타나는 피해를 간략이 써둔것이오니 참고 바랍니다.

 

 

 

 

반응형